LA LOFT COFFEE
스타벅스는 공간을 팔지만, 라라프트커피는 커피를 팝니다.
필터 커피의 미래: 수작업의 매력과 자동화의 혁신
필터 커피는 스페셜티 커피의 중심에 자리 잡으며, 장인 정신과 혁신 기술의 조화를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수작업 브루잉이 가진 매력은 여전히 강력한 반면, 자동화 기술은 커피 품질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필터 커피는 이러한 두 요소를 결합하며 새로운 미래를 열어가고 있습니다.
1. 필터 커피, 수작업의 매력을 재발견하다
필터 커피의 수작업 브루잉은 단순한 추출 과정을 넘어선 예술로 자리 잡았습니다. 바리스타가 직접 컨트롤하는 푸어 오버 방식은 스페셜티 커피의 상징으로, 소비자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2024년 월드 브루어스 컵 챔피언 Martin Wölfl은 말합니다.
“수작업 브루잉은 기능을 넘어 아름다움과 고급스러움을 담아야 합니다. 고품질 장비와 세련된 디자인은 소비자들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합니다.”
실제로 Origami, AeroPress Premium, Hario Suiren 등은 독창적인 디자인과 함께 높은 품질을 자랑하며, 인스타그램에 어울리는 ‘포토제닉’한 매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2. 자동화, 품질과 효율성을 높이다
자동화된 브루잉 장비는 필터 커피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특히 인력 교체율이 높은 팬데믹 이후, 많은 카페에서 자동화를 통해 안정적인 운영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ZHAW 커피 우수 센터의 Dr. Samo Smrke는 이렇게 말합니다.
“자동화 기술은 최근 몇 년 동안 커피 품질을 크게 높였습니다. 우수한 자동 브루어는 수작업 브루잉과 같은 품질을 제공하면서도 일관성을 보장합니다.”
하지만 자동화의 편리함은 때때로 커피 브루잉의 예술성을 희생시키기도 합니다. Timemore의 공동 설립자 Yu Yue는 이를 두고 이렇게 설명합니다.
“좋은 자동 브루어는 재미와 제어를 동시에 제공합니다. 단순히 효율성만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커피를 즐길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3. 커피 브루잉의 혁신과 미래
필터 커피의 미래는 새로운 기술과 트렌드에 의해 더욱 다양해질 것입니다. 특히 월드 브루어스 컵과 같은 대회는 혁신적인 장비와 새로운 추출 방식을 실험하는 장이 되고 있습니다.
“새롭게 개발된 드리퍼와 장비를 대회에서 실험할 수 있다는 점은 흥미롭습니다. 이는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는 베타 테스트와 같습니다.”라고 Martin Wölfl은 강조합니다.
또한, ZHAW의 Dr. Samo Smrke는 필터 커피 브루잉의 과학적 연구 필요성을 언급하며 말합니다.
“추출 과정에 대한 과학적 이해가 깊어질수록 바리스타와 홈 브루어 모두 더 나은 품질의 커피를 만들 수 있습니다.”
4. 필터 커피의 진화: 소비자 중심으로 변화하다
필터 커피는 장인 정신과 기술의 융합을 통해 더 큰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수작업 브루잉은 고급스러움과 독창성을 유지하며, 자동화는 효율성과 일관성을 강화합니다.
이 모든 요소가 합쳐져 필터 커피는 커피 애호가들이 원하는 다양한 경험을 충족시킬 것입니다.
기사원본) https://perfectdailygrind.com/2025/01/whats-the-future-for-filter-coffee/
브루잉은 오래된 관습법에서 벗어나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미신처럼 전해져 내려오는 추출법은 더이상 존재 하지 않습니다. 브루잉은 고급기술을 가진 숙련된 바리스타만 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원두와 그라인더, 드립퍼, 뜨거운 물 만 있으면 브루잉을 할 수 있습니다. 해당 포스팅은 브루잉 또한 자동화시킬 수 있으며 앞으로 미래는 자동 추출로 커피를 접하게 될 것이라면서도 사람이 만들어 주는 커피 또한 부정할 수 없다고 합니다. 에스프레소도 전자동 머신으로 추출하고 있는 시대입니다. 브루잉을 자동화시키지 못할 이유도 없겠지요. 하지만 에스프레소 머신은 아직도 매뉴얼 머신이 유효합니다. 이유는 무엇일까요? 추출상황에서 마주칠 변수에 적응할 수 있는 건 결국 추출하는 사람입니다. 추출의 자동화보다는 추출 시 사용하는 장비의 고도화. 이것을 더 유효하게 생각 합니다. 커피추출은 숫자와 시간의 결과물이니까요. 정확한 계량과 물의 온도. 그리고 곱게 갈린 원두가루 입자의 추출 유효성. 이런 게 더 필요할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거기에 더해 한잔의 커피에 정성을 다하는 바리스타의 마음 또한 빼놓을수 없겠지요?
오늘도 감사합니다.
'3. 커피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편화되는 싱글 도징 그라인딩, 어디까지 진화할까? (3) | 2025.02.16 |
---|---|
커피 로스터는 커피 농장을 사고 싶다. (1) | 2025.02.07 |
드롱기, 라마르조꼬 인수 – 스페셜티 커피 머신 시장의 새로운 변화 (4) | 2025.02.04 |
2024년 커피 산업 결산: 2025년에도 인수 합병이 계속될까? (4) | 2025.02.02 |
커피 옥션의 국제화, 소비자와 생산자를 잇다 (1) | 2025.01.25 |